오픈하우스서울 2019
REPORT
오픈하우스서울 2019
REPORT
매년 가을이 되면 제 마음을 설레가 하는 도시건축축제가 열리는데요. 올해도 어김없이 오픈하우스서울이 찾아왔습니다! 이 축제가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잠시 소개 드리자면, 오픈하우스서울은 평소 방문하기 힘든 장소와 건축물을 모두에게 개방하는 '건축물 개방 축제' 입니다. 런던과 뉴욕, 멜버른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부터 시작됐어요.
다양한 평면을 만들어낸 것만으로도 건축가가 얼마나 많은 고민을 했을지가 느껴졌지만 무엇보다 힘든 건 주차대수와의 싸움이 아니었을까 해요. 지하에 기계식 주차장을 두었는데 한정된 지하공간에서 법정 설치 기준을 만족시키는 일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 같습니다. 여러 큰 숙제들을 해결해야 했을 <화운원>은 건축주와 건축가의 끊임없는 대화와 고민 속에서 탄생한 보통의 고층 건물이 풍기는 차가운 이미지와는 다른 '참 따뜻한 집'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망원동 <단단집> - 에이오에이아키텍츠
먼저 외관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처음 <망원동 단단집>을 봤을 때 시선을 단번에 사로잡는 강렬함을 느꼈는데요. 신기하게도 이내 낯설지 않은 느낌도 받았습니다. 붉은색과 흰색의 타일 색상이 강렬함을, 대칭 형식의 단순한 디자인과 어렸을 때 목욕탕에서 많이 봐왔던 10㎝ x 10㎝ 크기의 타일이 익숙함을 안겨주었어요. 실제로 이 집을 설계한 건축가는 세련되면서도 올드한 느낌의 건축적 느낌을 지향한다고 하네요.
반짝이는 타일 마감과 달리 러프한 모습의 계단실을 지나 집 내부로 들어서니 분홍색 대리석 기둥이 1:1의 비율로 방과 주방을 나누고 있었어요. 현재의 생활상을 반영하지 않는 정형화된 면적 배분에 의문을 제시했다고. 집을 옮길 때면 주방에 4~6인용 테이블까지는 아니더라도 2인용 테이블 하나 놓고 싶은 제 맘을 알아준 것 같아 참 감사했어요. 꼭대기 층에는 유니크한 공간이 많았습니다. 현관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맞닥뜨리게 되는 복도 공간과 센터에 자리를 잡은 싱크대, 삼각형 구조의 다락방, 옥상 등 이 공간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를 상상하느라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
<망원동 단단집>에서는 자유분방한 반항아의 기질이 엿보이면서도 이면에는 엄격한 규율과 질서가 있는 듯한 복합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누군가는 <망원동 단단집>을 보며 픽셀집을 떠올렸다고 하는데 저는 타일의 스케일과 줄눈, 대칭적인 건물의 모습에서 아이돌 그룹의 칼군무가 연상되는 건 왜일까요?
글 전명희 / 사진 전명희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봉천동 화운원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
망원동 단단집